수소시장전망1 2023.4.21 현대엔지-SK에코, '탄소없는 수소생산 연구' 협력 - 수소 생산 밸류체인 신호탄? 목적 한국은 신재생에너지가 적합하지 않은 나라이다. 왜냐하면 신재생에너지의 적합도를 판정할 때 하나의 변수는 토지인데 우리나라는 신재생에너지를 깔 수 있는, 적합한 토지가 많지 않다. 그래서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비용도 매우 높은 편이다. 이런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어떻게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까? 2050 탄소중립시나리오에 따르면, 우리나라는 전력 생산의 94%를 신재생에너지와 수소의 조합으로 달성할 것이며 최종에너지원별 비중을 보면 신재생에너지 43.2%, 수소 비중은 37.5%로 전망했다. 수소 수요의 30.7%는 전력을 생산하는데 쓰인다. (전력 생산 : 발전용 연료전지, 무탄소 가스터빈) 한국은 최종에너지원 중 수소의 비중이 37.5%인 반면 글로벌 수소의 비중이 2.4%로 매우 낮다... 2023. 4. 24. 이전 1 다음